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원격
종합 속보 정치 구미1 구미2 김천 칠곡 공단.경제 교육 사회 행사 이슈&이슈 문화 새의자 인물동정 화제의 인물 기관/단체 사설 칼럼 기고 독자제언 중부시론 기획보도 동영상뉴스 돌발영상 포토뉴스 카메라고발 공지사항 법률상식
최종편집:2025-07-11 오전 10:02:27
전체기사
커뮤니티
공지사항
뉴스 > 칼럼 +크기 | -작게 | 이메일 | 프린트
[기고] 밑지는 것이 곧, 복 받는 일이며 남는 장사이다
옥계초등학교
교장 김영우
2018년 05월 30일(수) 10:51 [경북중부신문]
 

↑↑ 옥계초등학교
교장 김영우
ⓒ 경북중부신문
 모든 일은 욕심 때문에 일어난다.
 꼭 이기는 것만이 能事(능사)가 아니다. 이기는 것은 사안에 따라 패배를 의미하기도 한다. 때론 조금 속아주면서 밑지고 살면 마음이 편안함을 느낄 때가 많다. 마음의 편안함이 건강의 捷徑(첩경)이다. 걱정거리가 있을 때는 의욕 상실과 함께 밥맛도 없고 소화도 잘 되지 않는다.
 음식을 잘 먹는다고 건강이 유지 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건강은 걱정 없는 생활을 바탕으로 음식, 운동, 원만한 인간관계, 자연과의 관계 등 여러가지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이다.
 밑지는 것은 마음을 편하게 하고 마음이 편하니 복이 스스로 생기고 먼 곳에 있는 복도 굴러 들어온다. 그리고, 하는 일도 술술 잘 풀린다. 魔力(마력)의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喫虧(끽휴, 손해를 봄) 是福(시복, 복이다 또는 복의 시작)’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밑지는 것이 곧 복이다. 밑지고 사는 사람은 결국에는 좋은 친구와 재물이 따르고 세월이 갈수록 향기로운 사람으로 거듭 태어 날 수 있다.
 밑지며 살려고 하는 사람들이 어디 있겠는가? 하지만 밑지고 살아야 복을 받는다.
 밑지고 사는 사람은 남을 먼저 배려하고 자기가 손해를 보며 德(덕)의 언덕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이기심이 많은 사람은 吝嗇(인색)하고 壅拙(옹졸)한 인생의 연속이다. 인색함이 깊어지면 凶(흉)이 되고, 흉이 깊어지면 후회의 奈落(나락)으로 떨어지게 된다.
 사람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지만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는 것 같다. 적당한 욕심은 활력을 불어 넣어 자기의 욕망을 충족시키는 수단이 되기도 하지만 지나친 욕심은 화를 불러 들여 재앙을 자초하기도 한다.
 욕심은 개인이 살아온 생활환경, 타고난 성격, 개인의 절제와 인내심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지나친 욕심은 금물이다.
 다음은 ‘끽휴시복’에 관한 일화이다.
 청나라 판교 정섭이 유현 현령으로 있을 때 아우가 편지를 보내 왔다. 집 단장 때문에 이웃과 訟事(송사)가 붙었으니 현감에게 청탁해서 이기게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형 정섭은 답장으로 시 한수를 썼다. “천리 길에 글을 보내는 것은 담장 하나 때문이니 담장하나 양보하면 또 무슨 상관인가? 만리장성은 아직까지 남아 있는데 당년에 진시황은 보지도 못했다네” 이와 함께 ‘喫虧是福(끽휴시복)’ 네 글자를 써 보냈다. 그리고 ‘가득함은 덜어 냄의 기미요, 빈 것은 채움의 출발이다. 내게서 덜어내면 남에게 채워진다 밖으로는 인정의 평온을 얻고 안으로는 마음의 편안함을 얻는다 평온하고 편안하니 이것이 바로 복이 아닌가?’라고 풀이 글도 썼다. 아우가 부끄러워 송사를 포기 했다고 한다.
 채근담에 ‘사람의 괴로움은 끝없는 욕심에 있다. 자기의 분수에 만족할 줄 안다면 마음은 항상 즐겁다’라는 말은 편안한 생활을 위해 삶의 지혜를 가지라는 뜻이기도 하다.
 밑지는 것이 곧, 복 받는 일이며 남는 장사이다
중부신문 기자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경북중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경북중부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중부신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경북도의회, 디지털 혁신으로 도
구미시의회, ‘구미 그린로컬 축
경북교육청, ‘2026학년도 대
구미도시공사, ‘부패방지경영시스
2025 구미시 사회복지사대회
구미대, 전통시장·골목상권 살리
구미시로컬푸드직매장, 누적매출
구미 낙동강 워터파크 개장
선산보건소, 보건복지부 장관 표
구미시, ‘미래산업 기술정보 리
최신뉴스
 
경북교육청, 여름철 폭염 대비
제15대 여영각 한국자유총연맹
국립금오공대, ‘2025년 경북
구미교육지원청, 2025 특수교
구미도시공사, 구미 장천 일반산
구미시, 2025년 상반기 시정
경북경총 중장년내일센터, ‘신중
국립금오공대 교수 4명, ‘제3
경북도, 역대 최대인 3조 6천
이철우 도지사, 10일 경북산불
불유사, 선산읍에 쌀 360kg
구미시 농산물 가공기술지원센터
㈜월덱스, 구미시장애인종합복지관
구미문화원 2025 선비아카데미
구미경찰서, 역사 여자화장실 ‘
구미시, ‘스마트 도시하천 침수
구미시, 건설협회와 청렴 간담회
구미시, 취약계층 보호 행정력
구미시, 금오공고·구미전자공고와
선산보건소, ‘고혈압·당뇨병 자


회사소개     광고문의     제휴문의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경북중부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13-81-30450 / 주소: 경북 구미시 송원서로 2길 19 / 발행인.편집인: 김락상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주석
mail: scent1228@naver.com / Tel: 054-453-8111,8151 / Fax : 054-453-1349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아00367 / 등록일 : 2015년 5월 27일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천요강을 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