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영식 구미을 4·15총선 국회의원 후보가 대표공약 중 하나로 ‘도-농 상생형 농산물직거래 IT플랫폼 구축’계획을 발표했다.
김 후보는 지난 30일 “구미시는 막대한 농업 생산력과 구미공단이라는 막대한 농산물 소비시장을 함께 가진 전형적인 도-농 복합형 지역”이라며 “이 두 요소를 상생 모델로 결합하는 것이 농산물 직거래 플랫폼의 역할”이라고 밝혔다.
김 후보는“입주업체 2천80개, 고용인원 9만8천여 명에 이르는 구미공단은 막대한 식자재를 품목에 따라 도매시장 또는 소매시장에서 구매하는데, 지역 내 직거래를 통해 유통마진의 20∼25% 정도를 절감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에 따라“이 유통마진의 절반인 10%이상은 농민에게, 나머지 절반인 10%이상을 기업체들에게 돌려주는 것이 이 공약의 핵심”이라고 김 후보는 설명했다. 또 그는“구미공단을 1차 수요시장으로 시작해 점차 구미시내 학교, 기관단체, 식당, 숙박업소 등으로 식자재 시장을 확대해 나갈 경우 이 플랫폼의 시장성은 충분할 것”이라 말했다.
김 후보는“구미지역은 경북에서도 농가 가구수가 증가(10년 간 2.1%)하는 특이한 지역”이라면서 “농가의 99%가 구미을 지역구에 포함돼 농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이 공약을 마련하게 된 것”이라 말했다.
이어 김 후보는“농가 부가가치와 기업체 식자재 비용절감 효과를 동시에 10% 이상 올리게 되면 지역경제는 눈에 띄게 살아날 것”이라면서“웬만한 불황에도 거뜬하게 견딜 수 있는 구미경제의 기초체력을 다지는 것이 목표”라며 경제 살리기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또, 김 후보는“이 도-농 직거래 플랫폼은 짧은 물류거리, 유통마진 극소화, 최고의 신선도 유지 등 많은 장점이 있다”라며 “특히 장거리 운송과 장시간 보관과정에서 일어나는 손실분을 제로-베이스로 낮춤으로써 최고의 유통시스템으로 안착시킬 것”이라 말했다.
한편, 김영식 후보는 “이 공약은 구미 스마트산단 프로젝트 기반에서 기업 플랫폼과 연계하여 추진하면서 공단 기업체들의 MRO(소모성 자재) 공동구매 사업 등으로 범위를 확대해 나갈 경우 기업 경쟁력 강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하면서 “스마트산단 사업단, 구미시, 한국산업단지공단, 농민단체 등의 의견을 폭넓게 수용해 구체적인 계획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 덧붙였다.
임주석 기자 scent1228@naver.com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경북중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