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고독사 예방 현장에서 활동하는 실무자의 심리적 충격과 업무 관련 정서적 소진을 완화하기 위해 경북행복재단 경상북도사회적고립예방지원센터를 통해 ‘심리정서지원사업’을 9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고독사 현장 최초 발견자(공무원·통합사례관리사·행복기동대원)와 고독사 예방사업 담당자는 사망 현장을 직접 목격하거나 위기 상황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극심한 충격과 정서적 부담을 겪을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우울, 불안 등 심리적 문제로 이어지며, 장기적으로는 업무 회피나 직무 이탈로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 경북중부신문
이에 경북도의 지원을 받아 경북행복재단 경상북도사회적고립예방지원센터가 도내 전문 심리상담기관과 협약을 맺고 실무자들이 안심하고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지원 체계를 구축했다. 실무자는 경북행복재단 홈페이지, QR코드, 전화, 구글폼 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이 완료되면 신청자가 원하는 협약 심리상담기관으로 연계된다.
상담은 1인당 최대 4~8회 무료 제공되며 모든 비용은 센터에서 전액 부담하며 개인정보는 철저히 보호된다. 이번 사업은 단순 상담 제공에 그치지 않고, 상담 전후 심리 검사와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회복 효과를 확인하고 업무로 인한 심리적 소진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권영문 경북도 사회복지과 과장은 “고독사 예방 최일선에서 활동하는 실무자들의 정신적 부담을 덜어내는 것은 정책의 지속성과 직결된다”며 “업무 과정에서 생기는 심리적 소진을 국가와 지자체가 제도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경북행복재단 정재훈 대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충격은 개인이 혼자 감내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재단은 실무자들의 치유와 회복을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정서지원 체계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는 이번 심리정서지원사업을 시작으로, 고독사 예방과 사회적 고립 대응에 참여하는 실무자들이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
임주석 기자 scent1228@naver.com “새 감각 바른 언론” - Copyrights ⓒ경북중부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